React 디플로이 하는 방법과 명령어
디플로이란? 그냥 개발한 환경을 배포한다? 쯤으로 이해하고있다.
일단 React 가 보여준 브라우저의 사용량을 확인해 보자!
=> 개발자 화면은 키고 network 메뉴를 보면 하단에 사용량을 확인 할 수 있다.
별 내용이 없어도 상당히 많은 양을 사용하고 있다.
이는 create-react-app 이 제공하는 용량이 많기 때문이다. 이 상태로 사용자에게
제공하면 사용자로 하여금 로딩이 느리고, 불필요한 내용까지 제공 될 수 있기 때문에
디플로이를 위한 디렉토리가 필요하다.
그래서 build 디렉토리를 설치할 것이다.
bulid 디렉토리안에 파일들은 create-react-app 에 의해서 코드상에서 불필요한 줄바꿈 등등을 제거해 준다.
( public 이나 src 디렉토리 안에 있는 파일들의 코드를 정리해서 bulid 안에 index.html 파일로 옮겨준다. )
실제로 서비스 할 파일들은 bulid 디렉토리 안에 만들면 된다.
1. npm run bulid 를 입력한다.
그러면 우리가 만들었던 파일 안에 bulid 라는 디렉토리가 생긴걸 확인 할 수 있다.
2. npx serve -s bulid 를 입력한다.
=> npx ( 한번만 serve를 설치하는데, )
-s bulid ( build 디렉토리를 documentById('root) 로 하겠다 라는 뜻이다.
,
,
그러면 create-react-app 이 열심히 일을 해서 URL 을 알려주는데
이 URL 의 코드는 build 안에 index.html 파일에 있는 코드들이다.
이로써 디플로이를 위한 준비와 실습을 해보았다.
기초적인 내용이지만 작동원리와 파일들을 이해하려고 노력했다.
3번째 정주행이지만 이제서야 조금씩 이해가 가고 보이는 느낌이다.
앞으로 몇번을 더 봐야 할 지 모르지만 익숙하지 않아 어려운것이라 생각한다.
익숙해 질때까지 공부하고 연습해야 할 것이다.